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3

장단기 금리 역전 해소, 경제 침체 신호인가? 지난 8월 27일, 단기물을 대표하는 2년 만기 미국 국채의 금리가 장기물 대표인 10년 만기 미국 국채의 금리보다 높게 유지됐던 금리 역전 현상이 해소됐습니다. 이처럼 장단기 금리가 역전이 해소될 때, 경기침체가 발생한다는 의견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1. 금리가 역전되는 이유 보통 돈을 오래 빌릴 때 (장기 채권)는 단기로 돈을 빌릴 때보다 금리가 높은 것이 당연합니다. 그러나 시장 금리가 급격하게 올라 새로 발행되는 채권의 금리가 높아질 경우, 장기 채권과 금리 수준이 비슷해질 수 있습니다. 여기에 앞으로의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을 것이라는 여러 지표가 나온다면 장기 채권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어 장기 채권에 적용되는 금리 오름폭은 점점 낮아져 결국 단기 채권의 금리가 더 높아지는 역전 현상이 발생하.. 2024. 9. 12.
9월 미국 금리인하, 수혜주 알아보기 24년 8월 24일, 잭슨홀 미팅에서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9월 금리 인하를 발표했습니다. FOMC에서 금리를 내릴 확률이 매우 높아졌습니다. 가장 유력한 의견은 9월에 금리를 0.25%포인트 내린다는 것입니다. 한편으로는 0.5%포인트를 한 번에 내리는 '빅컷'을 시행할 것이라는 의견도 많지만, 이번 달 6일 발표되는 8월의 고용보고서의 결과를 통해 금리 인하 정도를 가늠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잭슨홀 미팅이란? : 매년 8월 말 미국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리는 경제정책 심포지엄이며, 주요국 중앙은행 총재/경제학자 등이 참석합니다. * FOMC란? : 미국 중앙은행인 Fed의 통화 정책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인 기준 금리를 결정하는 위원회입니다. (Federal Open.. 2024. 9. 2.
금리 인하기에는 배당주를 사라? 배당주 알아보기 1. 배당주란?배당주란, 회사가 일정 기간 동안 벌어들인 이익의 일부, 또는 전부를 주주에게 환원하는 배당금을 주주에게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주식입니다. 배당주를 보유하고 있어야 배당금을 정기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보통 한국 기업의 경우 연 1회 배당금 지급이 많고, 일부는 분기 또는 반기에 배당하기도 합니다. 미국 기업의 경우는 분기마다 배당, 또는 매달 하는 기업도 있습니다.  배당주의 경우, 장기로 가져가기 위해 투자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배당을 주지 않는 무배당주보다 보통은 거래량이 많지는 않습니다.   2. 배당주의 장점① 수익 안정화- 배당을 많이 하는 기업의 경우, 꾸준한 배당금 지급이 가능하도록 탄탄한 재정을 가진 회사일 확률이 높습니다. 대체로 성장보다는 안정적인 경영에 초점을 맞.. 2024. 8. 31.
정부·가계 빚, 3000조 돌파... 경기에 미치는 영향은? 최근 어려운 경기와 지속된 감세로 나라 빚이 늘었고, 부동산 시장 상승세로 인한 관련 대출 증가로 가계 빚이 늘어 25일 기준 처음으로 국내총생산(GDP)의 약 1.25배인 3천조원을 넘어섰습니다.   1. 정부와 가계의 "빚", 금액 산정 방법 ① 정부의 빚정부의 빚은 대부분 국채, 그 중에서도 국고채가 대부분입니다. 국고채는 나라가 발행하는 채권이며, 일정기간 이상 보유시 확정된 이자를 지급하는 상품입니다. 국고채를 발행한다는 것은 나라에 그만큼 자금이 필요하다는 뜻이며, 이렇게 발행되는 국고채를 기업 또는 민간이 구매하게 되면 구매한 금액에 대한 이자를 받고 돈을 빌려주게 됩니다. 발행된 금액만큼 미래에 반드시 원금과 이자를 상환해야 하기 때문에, 발행된 국고채의 금액만큼 국가의 부채가 늘었다고 하.. 2024. 8. 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