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_경제65 주식시장의 캘린더 효과 : 정말 수익률에 영향을 미칠까? 주식 시장에는 특정 계절 및 시기에 따라 수익률이 변하는 패턴이 발생합니다. 이 중에서도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시기를 일컬어 캘린더 효과라고 합니다. 캘린더 효과가 진짜 수익률에 영향을 미칠까요? 대표적인 계절 효과① 1월 효과다른 달에 비해 소형주의 수익률이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보통 직장인들이 받는 연말/연초의 보너스가 자금으로써 증권 시장으로 유입되는 것, 전년도 말 기준으로 세금 손실 매도를 끝낸 투자자들이 새로운 투자를 진행하며 주가가 상승한다고 설명합니다. ② 서머랠리매년 6월에서 7월까지 발생하는 반등장을 뜻합니다. 여름 휴가를 떠나기 전 주식을 사두는 펀드매니저들 덕분에 증시가 오르는 것에서 비롯됐습니다. 보통 여름 휴가가 긴 선진국에서 많이 보이는 패턴이며, 미국.. 2024. 11. 18. 부동산 대출의 필수 개념 LTV, DTI, DSR 쉽게 알아보기 LTV(Loan to Value ratio)는 대출의 담보 가치를 기준으로 대출 가능한 금액을 뜻합니다. DTI(Debt to Income)는 연소득 대비 한 해 동안 모든 주택 대출 원리금 부담 금액의 비율입니다. DSR(Debt Service Ratio)는 개인의 연간 소득 대비 모든 부채(주택 대출, 카드론, 신용대출, 학자금 대출 등) 상환에 대한 원리금 상환액의 비율을 뜻합니다. 1.LTVLTV는 대출가능한 금액/주택담보물의 가치*100으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담보로 삼고자하는 주택의 가치가 10억이고, LTV가 60%라면 최대 6억원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2.DTIDTI는 모든 주택 담보대출의 원금과 이자, 기타 대출 이자를 합친 총 상환액에 연소득에 100을 곱한 금액을 나눈 비율입니다.. 2024. 11. 17. 2024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어떻게 바뀌었나?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란 2006년에 제정된 법안으로 재건축시 발생하는 초과 이익이 인근 집값 상승분과 비용 등을 빼고 8천만원이 넘을 경우, 초과 금액의 최대 50%까지 환수하는 제도입니다. 기존 기준은 3천만원이었으나, 윤석열 정부때 부담금 부과가 보류됐고 이후 야당과의 협상을 통해 24년 3월 상향됐습니다. 1. 시행 목적재건축시 발생하는 과도한 부동산 가격 상승을 억제해 주택 가격 안정, 사회적 불평등을 완화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2. 계산 방법재건축 초과이익은 재건축 후 주택 가격에서 재건축 전 주택 가격과 사업 비용을 제외하고 나머지 금액입니다. 초과 이익이 많을 수록 환수 비율이 높아지며, 최대 50%까지 부과됩니다. 3. 지역별 현황① 서울24년 6월 기준 서울의 경우 31곳이 재.. 2024. 11. 16. [트럼프 수혜주 4] 국내 제약사 호재? 제약바이오분야! 트럼프 당선인은 제약바이오분야에서도 자국 우선 주의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생물보안법(미국 내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경쟁 촉진 및 가격 안정을 위한 법안) 강화를 통해 중국 바이오 기업을 제제할 것을 시사했습니다. 이를 통해 국내 제약바이오업계에서는 위탁생산(CDMO) 기업이 낙수효과를 누릴 것이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1. 트럼프 정부 제약바이오 분야 주요 기조① 약가인하- 경쟁 유도를 통해 약가 상승을 억제할 예정입니다. 바이오시밀러 (기존 바이오 의약품 특허 만료 후 제작되는 오리지널과 매우 유사한 약품) 장려 및 자율적인 경쟁을 통해 시장원리로 약가를 낮추겠다는 계획입니다. 바이오시밀러, 위탁생산(CDMO)를 하는 국내 기업에게는 호재일 수 있으나, 기존 시장을 주름잡고 있던 중국을 제치기 위해 .. 2024. 11. 15. 이전 1 ··· 4 5 6 7 8 9 10 ··· 17 다음 728x90 반응형